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해서 생각만으로 모든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세상.<br><br>영화 속 장면이 아니라 진짜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<br><br>가히 신인류의 등장이라 할 만한데, 안정성과 윤리적인 논란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숙제입니다.<br> <br>세계를 보다, 김민곤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혼자 옷을 입거나 음료를 마시지도 못하는 호주의 루게릭병 환자입니다. <br> <br>가슴에 둥근 장치를 붙이자 곁에 있던 태블릿PC가 작동합니다.<br> <br>화면을 움직이고 문자 메시지도 보냅니다. <br> <br>뇌에 칩을 이식한 환자가 중계기 역할을 하는 둥근 장치를 활용해 태블릿PC를 사용하는 겁니다. <br> <br>[필립 오키프 / 호주 루게릭병 환자 (2020년 10월)] <br>"화면을 클릭하는 방법은 왼쪽 발목을 치는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. 그 생각을 하면 (뇌의 칩이) 뇌 신호를 읽은 뒤 명령으로 바꾸는 구조죠." <br> <br>사고로 온몸이 마비된 프랑스의 20대 남성은 뇌에 칩을 이식한 뒤 로봇 장치를 통해 걸을 수 있게 됐습니다. <br> <br>발을 움직여 걸어야겠다는 생각을 하면 뇌에서 전기신호가 나와 로봇의 다리에 전달돼 움직이는 구조입니다. <br> <br>[티보 / 프랑스 사지마비 환자 (2019년 10월)] <br>"좀 더 강하게 발을 내딛는 상상을 하는 것이 (로봇으로) 걷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낳더라고요." <br> <br>모두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, BCI의 도움으로 새 삶을 살게 된 겁니다. <br> <br>지금 제 옆에 보이는 영상처럼 뇌에 이식된 컴퓨터 칩은 뇌파를 분석하는데요, 이렇게 분석된 뇌파는 전기신호로 바뀌어 사람의 생각대로 외부 기기를 작동시킵니다.<br> <br>각국이 개발을 주력하는 부분은 몸에 최대한 상처를 적게 내 칩을 이식하고 얼마나 정밀하게 명령을 내리는지 여부입니다. <br> <br>최근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시작했다고 밝힌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얇은 '전극 실'을 뇌 표면에 재봉틀처럼 박는 기술을 사용했습니다. <br> <br>머스크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과 컴퓨터의 직접 소통입니다. <br> <br>[일론 머스크 / 테슬라·뉴럴링크 창업자(2020년 8월)] <br>"여러분의 휴대전화가 뇌에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일 겁니다. 칩을 설치하는 건 한 시간 내로 가능합니다." <br> <br>뇌에 칩을 이식하는 기술의 개발은 궁극적으로 신체장애의 극복을 의미합니다. <br> <br>최근에는 안경에 부착된 카메라 렌즈가 영상 정보를 전기 신호로 바꿔 뇌에 전달하는 기술도 개발돼 시각 장애 환자들에게도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. <br> <br>[닉 탈봇 / 연구개발 수석] <br>"인식된 이미지를 케이블을 통해 여기 있는 변환 안테나로 보냅니다.이를 통해 머릿속에 이식된 칩으로 보내는 거죠." <br> <br>다만, 감염과 부작용 등 '안전성'이란 큰 산이 남아 있습니다. <br> <br>[임창환 /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] <br>"칩을 5년 동안 머릿속에 넣어도 부작용이라든가 완벽하게 해소가 돼야 적용할 수 있는 거잖아요." <br> <br>안전성을 확보하더라도 '신인류'로 불릴 정도로 기존 인류와 큰 차이가 생기는 등 윤리적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됩니다. <br><br>이미 외신들은 최근 머스크의 임상시험을 "논쟁의 여지가 있는 생명공학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김민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최창규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